[PREVIEW]

  1. 인터페이스

    : 기본적으로 모두 추상 메소드로 구성

    public interface 이름

    → 상수 선언 가능 (final)

    → default 메소드 포함 (기본 메소드, 메소드의 내용이 이미 구현)

    → private 메소드 포함

    (클래스와 다른 의미, 내 인터페이스 안에 있는 함수만 사용 가능)

    → static 메소드 포함

    BUT 필드(변수) 선언 불가 ← 추상 클래스와 차이

  2.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

    1. 상수

    : public만 허용, public, static, final 생략 (→ 필드가 없어 필드와 헷갈리지 않음)

    1. default 메소드

    : 추상 클래스에서 구현된 default 메소드를 자동 상속 (클래스의 상속과는 차이)

    → 클래스 상속이 없기 때문에 접근지정이 의미가 X

    (과거에는 추상 메소드만 존재, 서비스 차원에서 default 메소드 추가)

    1. private 메소드

    : default 메소드가 호출되어 사용, 인터 페이스 내에 메소드 코드 작성

    1. static 메소드
  3. 인터페이스의 특징

4, 인터페이스의 목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