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eview

클래스의 이름 → 대문자 영문자로 시작/ 소스파일의 이름, 생성자의 이름과 같다.

생성자

: new 연산자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반드시 호출되고 제일 먼저 실행되는 메소드

→ 자동으로 생성해주기도 하지만, 개발자가 직접 만들어 주어야 한다.

(컴파일러가 알아서 해주는 것을 즐기지 말기)

자바에서 모든 것은 클래스 안에 넣어야 한다. (C++은 클래스 안에 들어오지 않아도 가능)

자바에서 함수는 메소드라 한다.

  1. 식별자

    : 클래스, 변수, 상수, 메소드 등에 붙이는 이름

    [ 식별자의 원칙 ]

    1. @, #, ! 와 같은 특수 문자, 공백 또는 탭은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으나 _, $ 사용 가능

    ( _ 또는 $를 식별자 첫번째 문자로 사용할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사용 X

    → _를 경험적으로 나중에 삭제하는 변수 이름의 용도로 사용 )

    ⇒ 특수 문자 사용 불가능 !

    1. 유니코드 문자 사용 가능, 한글 사용가능

    ( 컴퓨터 환경으로 파일 명으로 한글 사용 시, 문제 발생 가능성 ↑ )

    ⇒ 파일 명의 경우 영어로 쓰고 주석은 한글로 !

    1. 자바 언어의 키워드는 식별자로 사용 불가 ex. void, return

    ⇒ 키워드 사용 불가능 !

    1. 식별자의 첫번째 문자로 숫자는 사용불가

    ( 컴파일러를 만들 때 숫자로 시작할 경우 숫자로 처리하는 방식 진행 )

    ⇒ 첫 글자는 무조건 영어로 !

    1. 불린 리터럴(true,false)과 널 리터럴을 식별자로 사용 불가능

    → 키워드 처럼 사용되기에 묶어서 암기

    1. 길이 제한이 없으며 대,소문자를 구별할 수 있다.

    ( 귀찮더라도 가능하면 제 3자도 알아볼 수 있게 조금 길게 쓰기 )

    시험문제) 식별자는 무엇인지 정의하고 원칙에 대해 설명하여라(요약)

    [올바른 이름 설정법]

    가독성이 높은 이름 → 자세한 이름을 부여

    시험) 알고리즘의 적정성, 명명 규칙 등도 평가 항목에 포함된다

  2. 자바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

    1. 데이터 타입
    1. 변수와 선언

    :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

    → 데이터 타입에서 정한 크기의 메모리 할당 (메모리 주소를 가진다)

    → 변수의 값은 프로그램 수행 중 변경될 수 있다 (상수는 변하지 X)

    선언 방식 ) 변수의 타입 다음에 변수 이름을 적어 변수를 선언

    ※ 상수와 리터럴

    리터럴 : 프로그램에서 직접 표현한 값, 정수, 실수, 문자, 논리, 문자열 리터럴 있음

    차이점)

    상수 → 대문자로 시작하는 식별자를 가지며 값의 변화 X, 메모리 공간 O

    리터럴 → 그 자체가 값, 메모리 공간 X

    PI = 3.14

  3. 자바 기본 프로그램

    [키 입력]

  1. if문